연결리스트를 이용한 큐의 구현 | 연결큐 - C 언어
·
C
연결 큐1차원 배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크기가 정해져 있는 원형 큐의 문제점을 보완해 나온 것이 연결 리스트를 이용한 연결 큐.원형 큐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로 👇🏻https://tildacoderecorder.tistory.com/102 [ 자료구조 ] enQueue()와 deQueue() 함수를 이용한 원형큐큐의 개념과 구조 큐 : 스택과 다르게 "선입선출"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.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는 구조. FIFO = First In First Out 순차큐의 문제점을 보완해 나온 것이 원형큐 = 1차원 배열을 사tildacoderecorder.tistory.com 큐의 원소는 연결 리스트의 노드이고, 각 노드를 포인터로 연결한다. front = 첫 번째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 변수 (..
enQueue( )와 deQueue( ) 함수를 이용한 원형큐 - C 언어
·
C
스택에 대한 설명 👇🏻https://tildacoderecorder.tistory.com/101 [자료구조] push( ) 와 pop( ) 함수를 이용한 스택스택의 개념과 구조 : 스택은 마지막에 삽입한 원소는 맨 위에 쌓여 있다가 가장 먼저 삭제 됨 / 후입선출 구조 ( LIFO, Last-In-First-Out ) 스택에서의 삽입 연산 : push 스택에서의 삭제 연산 : pop 기본tildacoderecorder.tistory.com큐의 개념과 구조큐 : 스택과 다르게 "선입선출"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.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는 구조. FIFO = First In First Out순차큐의 문제점을 보완해 나온 것이 원형큐 = 1차원 배열을 사용하면서 논리적으로 처음과 끝이 원처럼 연결되어 ..
push( ) 와 pop( ) 함수를 이용한 스택 - C 언어
·
C
스택의 개념과 구조: 스택은 마지막에 삽입한 원소는 맨 위에 쌓여 있다가 가장 먼저 삭제 됨 / 후입선출 구조 ( LIFO, Last-In-First-Out )스택에서의 삽입 연산 : push스택에서의 삭제 연산 : pop 기본 설정 #include stdio.h>#define STACK_SIZE 100 int S[STACK_SIZE];int top=-1;cs 100 크기의 S라는 정수형 배열을 만든다. 변수 top은 삽입과 삭제가 일어나는 위치로 현재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 위치이다.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오면 배열의 첫번째인 S[0]에 들어오기 때문에 top의 위치는 0으로 바뀌어야 한다. 그렇기에 top의 초기값은 -1이다. 스택의 push( ) 알고리즘 : 스택 S에서 top이 마지막 자료를 ..